분류 전체보기60 산전 관리(Antenatal care) part 1. 산과용어, 임신의 진단, 임신 주수판정 및 출산예정일 모성 생리에 대해서 한번 더 추가해서 작성해야할 포스트가 있긴 하지만! 자기 전에 이 녀석은 해두어야 내일 외래에 들어가서 조금이나마 도움을 받지 않을까 해서 새치기 합니다 먼저 산과 용어... 일반적으로 의학용어 자체가 너무 어렵죠 ;ㅁ; 산모분들은 정말 아기 낳는 것에 있어서 관심 많이 갖고 이것저것 많이들 찾아 보시는데요 의사들이 쓰는 말들이 무슨 뜻인지 알려드리고 산전관리에 대해 더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배아 - 수정 후 8주(임신 10주)까지의 수태물태아 - 임신 10주부터 출생까지의 수태물영아 - 출생부터 1세 까지의 기간 제1삼분기 - 최종월경주기의 첫째 날부터 임신 14주 0일까지제2삼분기 - 임신 15주(14주 1일)부터 28주(28주 0일)까지 조산(preterm) - 임신 21주(20.. 2013. 9. 4. 모성 생리 (maternal physiology) part 3 대사작용의 변화 어제까지는 사실 포스트를 쓰면서 공부를 해서 좀 정리도 안되고 했었습니다. 그래서 결국 중간에 멈추고 파트 3까지 오게 되었네요...ㅎㅎ;; 모성 생리는 여기서 마무리 지어 보도록 하죠! 이제 호르몬과 자궁 및 자궁 경부의 변화까지 이야기를 해 보았습니다. 오늘은 임산부들의 대사작용의 변화에 대해서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대사작용이란 에너지를 사용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 등 우리 몸을 지탱해 주는 작용들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체중의 변화 가장 먼저 임산부의 체중은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증가하겠죠. 평균적으로 40주 만삭인 경우 12.5kg 전후로 증가하게 됩니다. *거대아(macrosomia)평균적인 태아의 몸무게는 3.4kg이죠. 지금 실습돌고 있는 병동에는 4.5kg가 넘는 아이들이 은근히 .. 2013. 9. 4. 모성 생리(Maternal physiology) part 2 자궁의 변화 자 조금 충전해서 다음으로는 각 장기 별로 엄마의 몸이 임신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도록 하죠! 1. 자궁의 변화1) 비대와 확장 부피가 10cc에서 5~10L로 바뀝니다. wow 무게는 70g에서 1000g 이상으로 증가한다는군요. 2) 영향인자 임신1기에서는 주로 estrogen에 의해 비후가 일어나죠. 기억 나시죠?! 자궁 크기 증가 에스트로겐이 polyamine합성에 작용하여 커지는 겁니다. 임신2기에서는 수태 산물의 확대에 의해 자궁용적 증가라는 어려운 말을 하는데 결국 애기가 안에서 크기까 밀려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거에요 2)Fundal height의 위치 20~32주 사이에 Symphysis pubis에서 Fundus까지의 높이는 Gestational age와 거의 일치한다!!!라는.. 2013. 9. 3. 모성 생리(Maternal Physiology) part 1. 호르몬 변화 "자! 학생들! 우리는 이번주에 모성 생리에 대해서 공부해보자!"라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하하, 저는 당장에 퍼모사의 KMLE문제집과 구자 출판사의 파X내과를 펴고 공부를 했습니다만... 마구 나열된 녀석들을 외우자니 힘들더군요. 그래서 생각했습니다. 왜 이러한 변화가 생겨나게 되었을까. 그 원인부터 공부하면 가지를 치기 쉽지 않겠느냐. 모성생리... 임신을 하면 엄마의 몸에도 변화가 오겠죠. 그럼 임신을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이 엄마를 변하게 만들까?! 호르몬이겠죠 ㅎㅎ 1. Endocrine system -여기에는 1)뇌하수체, 2)갑상선, 3)부갑상선, 4)Adrenal gland 등이 작용을 하지만 그 전에 가장 중요한 호르몬에 대해서 언급을 해야겠죠. 바로 Estrogen과 Progeste.. 2013. 9. 3.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