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론>
문제 보기가 모두 빠져있어서 다소 틀린 부분이 있겠지만... 기억을 더듬기 위해 'ㅁ'
1.혈장량 증가가 가장 큰 용액 - 알부민 (Colloid)
2.봉합사 중에 감염이 가장 적은 것 - prolene
3.2cm, 움직이는 유방조직, 가능성 가장 큰 것 - fibroadenoma
4. Invasive ductal carcinoma 치료 - Breast conserving surgery + Central LN dissection(sentinel LN),
ER(+) - tamoxifen, 페경 후 aromatase inhibitor
5. 쇼크시 마지막까지 혈류가 가는 곳 - 심근, 뇌
6. 위 antrum 1cm, mucosa에 국한된 암 치료 - 내시경 점막 절제술
7. 위 전 절제술 후 수분저류 보일 때 처치는? - 금식, 수액공급
8.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후 담즙누수, duct 60% 손상 시 처치는? -
- hepaticojejunostomy(roux en y)
9. 간의 left lateral segment는? - S2, S3
10. 위 암, pylorus obstruction 등 기타 전이 치료는? - 수술이 불가능한 AGC로 bypass를 위한 gastrojejunostomy를 시행한다. gastrojejunostomy
11. 갑상선의 우측 3cm 고형 결절의 치료는? - 갑상선 절제술 + 방사선 치료
12. 소아 복부의 olive모양 종괴 - hypertrophic pylorus stenosis
13. 11개월 소아의 도넛모양의 종괴, 복막자극 징후 치료는? - 응급 개복
14. 혈변보는 나이, 진단은? 출생 후 소장의 주머니에 있는 위 점막 조직의 위산분비에 의한 출혈로 생후 1년 이후 혈변으로 주로 온다. 장꼬임이나 장중첩과 동반될 수 있다. 메켈, 동위원소 검사(technetium 99m scan)
15. 복부 외상, v/s stable한 환자의 진단은? 초음파 시행 후 CT
16. cholangitis 임상양상 + septic shock인 경우 처치는? - 수액공급
17. DVT 진단은? - 하지정맥 초음파
19. 양수 과다, 아기 입에 거품 - Tracheoesophageal fistula(TEF)
22. 핸들에 상복부 맞고 신장 출혈, 혈압 저하, 치료는? - 식염수
23. 임산부 appendicitis 치료 - 바로 수술
24. ileus, vital 이상하고 peritonitis의심되는 심한 증례 - 응급 개복술
25. 복벽을 지탱하는 가장 강한 인대 - transverse fascia
27. 유방암 증례. BCS후 ER(+) 향후 치료? - RT+tamoxifen
28. 대장암 + 간 전이 - colectomy + 간엽절제술
29. 천식 환자 glucocorticoid ICS 사용중, 수술 전 FEV 85% 처치는? 걍 수술
30. 예방적 수술 항생제는? - 절개시에 바로 쓴다.
31. 수액에 반응 안하는 shock 증례 할머니 - septic shock
32. 교통사고, 기관편위, 호흡곤란 남자 - 긴장성 기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