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LE_내과/내과(Med) Cardio
#1. Cardiology
Yoon_Med
2013. 9. 17. 00:20
A. 총론
1.심혈관계 진찰
2.심혈관계 검사
B. 부정맥
1. 부정맥
C. 고혈압 & 심부전
1. 심부전
2. 고혈압
D. 협심증 관련
1. 죽상경화증
2. 허혈성 심장질환
3. 급성 심근경색증
E. 심장 응급질환
전체 목차
1. 심혈관계 진찰
1)흉통 - 위치, 양상, 지속 기간, 악화요인, 완화요인, 동반 증상(심전도, X-ray, nitroglycerin, enhanced CT, ...)
2)실신 - LOC, presyncope, vasovagal, 기립성, 심혈관질환, ...
3)혈압측정 -
4)전신소견, 혈압, 맥박, 경정맥, 흉부 검사 -
2. 심혈관계 검사
1)심전도(흉부유도, 사지유도, 기본 파형, HR:300/RR간격, QRS axis, ...),
2)심초음파(2면성, 도플러, 부하, 경식도 초음파)
3)심장핵의학(Technetium 99m Sestamibi, ...)
4)심장도관술(Cardiac catheterization)-coronary artery anatomy확인에 gold standard/ CVP, PCWP, SaO2, CO)
3. 부정맥
1)심근의 전기생리, SA, AV, His, Purkinje, Autonomic control, 발생기전(형성장애, 전도장애), DC cardioversion, defibrillation, ICD, catheter ablation, surgery, pacemaker
2)항부정맥약 -class1 a,b,c : Na통로 차단, class2 : 베타차단제, class 3 : K통로 차단제, class 4 : Ca 통로 차단제
3)Sinus node dysfunction : sick sinus synd. sinus arrest, sinus exit block, tachy
4. 심부전
5. 판막질환
8. 감염 심내막염
9. 죽상경화증
10. 허혈성 심장질환
11. 급성 심근경색증
12. 심장 응급 질환
13. 고혈압
14. 대동맥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