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opause
1. F/50, vaginal bleeding for 1 week, facial burning, nocturnal diaphoresis-> mixed hormone therapy, regular use,
TVS n-s, 추가할 치료는?
- unopposed estrogen exposure가 endometrial hyperplasia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자궁이 있는 모든 여성에서 HRT의 기본 regimen은 estrogen+progesterone을 같이 주는 것, 우선 continuous amenorrhea를 유도해서 1년 내 무월경이 될 경우 유지하고, irregular하거나 bleeding이 있을 시 cyclic bleeding을 만들어 준다.
2. 폐경 후 호르몬 변화
- 에스트로겐 감소, LH 증가, 테스토스테론 감소, 안드로스텐디온 감소, 인히빈 감소
FSH와 LH를 제외하고 모두 감소한다고 생각>
3. 폐경 후 호르몬 요법 절대 금기증
- 유방암, 자궁내막암 진단 또는 의증, 진단되지 않은 질출혈, 활동성 혈전색전증, 활동성 간질환, 담낭질환
4. 상대적 금기증
- 심질환, 편두통, 이전 간질환, 담낭질환, 자궁내막암, 자궁내막암 기왕력
5. F/34, amenorrhea for 6 months, hot flash for 4 months, BSO op, LH 52IU/L, E2<10pg/ml, 치료는?
- menopause로 E+P
6. F/58,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menopause 51yrs old, comp.fx on spinal X-ray, T score -3, 진단은?
-severe osteoporosis, 정상:>-1.0, 골감소증: -2.5~-1.0, 골다공증: <-2.5, 심한 골다공증: <-2.5 + 1개 이상의 골절
7.F/45, amenorrhea for 6months, hot flash, diaphoresis, 가장 먼저 시행할 혈청 검사는?
-FSH
8. F/47, hot flash, diaphoresis, insomnia for 3 months, op hx of total hysterectomy for ut. myoma, 우선 시행할 검사는?
- FSH농도 측정
9. 폐경기여성에서 estrogen replacement가 도움되는 적응증은?
- 안면홍조 개선, 불면증 치료, 생식기 위축 예방, 골소실 지연 // 심혈관계질환에 대한 risk를 증가시키는지 논란중
10. androstenedione-> estrogen at 근육, 지방 -> LH증가
폐경은 1년 이상 영원히 월경이 사라지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난포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estrogen이 감소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데요, 평균 51세에 폐경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우선적으로 진단은 무월경(6달 or 3cycle간 월경 없는 것), 징후들, FSH상승 등을 보고 환자들이 느끼는 증상(안면홍조, 불면증, 야간발한 등)을 확인하고, progesterone withrawal test등으로 유발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사실 유발검사의 경우 무월경에 대한 work up과정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다른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절차라고 보면 되겠죠.
장기적으로 보면 질 위축이 나타나거나 치매, 심혈관계 질환, 골다공증 등이 올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가 줄어드는 것이죠. 이중 에너지 X-ray 흡수 계측법이라는 여튼 어려운 검사를 하여 T-score를 측정하여 -2.5 이하일 경우 골다공증이라고 하게 됩니다.
여튼 폐경이 나타날 경우 치료로 hormonal replacement therapy를 하게 됩니다. HRT라고 하죠.
E+P 요법은 coronary heart ds., stroke, pul. embolism, invasive breast cancer, dementia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금기증으로 known or suspected breast or endometrial cancer, undiagnosed abnormal genital bleeding, cardiovascular disease, active liver or gallbladder ds. 등이 있는 경우가 되겠습니다.
자궁이 있는 여성의 경우 E+P를 continuous하게 주어 무월경을 만들어 보고, 잘 안될 경우 cyclic bleeding을 만들어 주게 됩니다. 이는 continuous estrogen + cyclic progestin으로 시행하죠.
자궁이 없는 경우는 자궁이 계속 커질 일이 없으니까 estrogen만 주면 됩니다.
끗 '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