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조금 충전해서 다음으로는 각 장기 별로 엄마의 몸이 임신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도록 하죠!
1. 자궁의 변화
1) 비대와 확장
부피가 10cc에서 5~10L로 바뀝니다. wow
무게는 70g에서 1000g 이상으로 증가한다는군요.
2) 영향인자
임신1기에서는 주로 estrogen에 의해 비후가 일어나죠. 기억 나시죠?! 자궁 크기 증가
에스트로겐이 polyamine합성에 작용하여 커지는 겁니다.
임신2기에서는 수태 산물의 확대에 의해 자궁용적 증가라는 어려운 말을 하는데 결국
애기가 안에서 크기까 밀려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거에요
2)Fundal height의 위치
20~32주 사이에 Symphysis pubis에서 Fundus까지의 높이는 Gestational age와 거의 일치한다!!!라는 중요한 사실은 반드시 알고 있어야겠죠.
3)자궁태반혈류
임신 말기에는 1분당 2팩의 피가 흐른다! 즉 분당 450~650ml/min으로 외우시고, 조절에 관여하는 물질에는 catecholamine(혈관수축), Angiotensin II(혈관수축), NO(혈관이완)
여기서 중요한 녀석은 Angiotensin II라는 녀석이죠. 이녀석에 대한 민감도는 정상 산모에서는 굉장히 낮아서 나와도 크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간증 환자에서는 Angiotensin II에 의해 태반 혈관의 민감도가 굉장히 증가하여 임신성 고혈압이 생기게 됩니다.
supine position, 자궁수축 시, vasoconstriction 투여 시 감소하겠죠?
4)자궁 경부의 변화
임신시 가장 먼저 softening과 cyanosis가 나타납니다. 태아가 나와야 하니까 자궁 경부가 좀 부드러워질테고, 자궁에 의해 압박이 되다보니 청색증이 나타나겠죠. 이후 자궁 경부 점액선이 증가하고, 외번이 일어납니다. 아무래도 recto sigmoid colon 때문에 자궁의 위치가 오른쪽으로 치우치다 보니 나타나는 결과일 듯 합니다. Beaded pattern의 경우 progesterone에 의한 현상입니다.
'KMLE_산부인과 > 산과(Obstetr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후 출혈(Postpartum Hemorrhage) (0) | 2013.09.05 |
---|---|
조산 (preterm birth) (0) | 2013.09.04 |
산전 관리(Antenatal care) part 1. 산과용어, 임신의 진단, 임신 주수판정 및 출산예정일 (0) | 2013.09.04 |
모성 생리 (maternal physiology) part 3 대사작용의 변화 (0) | 2013.09.04 |
모성 생리(Maternal Physiology) part 1. 호르몬 변화 (0) | 2013.09.03 |
댓글